교육목적
본교의 건학이념인 개성교육, 생산교육과 영재교육을 통하여 국가와 인류사회의 문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선도적 기계기술분야 전문지식인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교육목표
기계공학의 신기술 전문지식을 겸비한 설계능력 배양, 산업현장 적응능력 배양과 협동정신, 국제화 적응능력 배양하여 연구개발 능력을 기르는데 목표로 한다.
연혁 및 특징
연혁
- 1946. 9. 29. 4개학부 12개 학과 (1195명) (공학부 기계공학과 인가)
- 1953. 3. 10.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40명
- 1953. 3. 10. 대학원 기계공학과 석사학위과정신설
- 1956. 3. 22. 대학원 기계공학과 석사학위과정(공학과 기계공학 전공 10명)
- 1962. 2. 9. 기계공학과 25명 (감원 15명)
- 1964. 2. 3. 기계공학과 40명 (증원 15명)
- 1966. 2. 25. 대학원 기계공학과 석사학위과정 6명
- 1967. 1. 10. 대학원 기계공학과 박사학위과정 신설 3명
- 1967. 12. 5. 기계공학과 40명 (증원 5명)
- 1974. 12. 21. 이부대 기계공학과 30명 신설
- 1975. 12. 30. 기계공학과 50명 (증원 10명)
- 1976. 1. 22. 이부대 기계공학과 40명 (증원 10명)
- 1978. 1. 11. 기계공학과 170명 (증원 120명)
- 1978.1.11 이부대 기계공학과 80명 (증원 40명)
- 1978. 2. 15 대학원 기계공학과 박사학위과정 6명 (증원 3명)
- 1978. 10. 7. 기계공학과 410명 (증원 240명)
- 1981. 10. 20. 기계공학과 320명 (감원 90명)
- 1988. 10. 29. 기계공학과 280명 (감원 40명)
- 1988. 10.29 이부대 기계공학과 70명 (감원 10명)
- 1991. 10. 22. 기계공학과 240명 (감원 40명)
- 1994. 10. 20. 기계공학과 190명 (감원 50)
- 1994. 10.20 이부대 기계공학과 60명 (감원 10명)
- 1996. 기계공학부(기계, 정밀기계, 기계설계전공)으로 개편(주간: 310명, 야간:140명)
- 1998. 기계공학부로 개편 (주간: 310명, 야간: 140명)
- 2000. 기계공학부(주간: 290명, 야간: 100명)(감원 60명)
- 2001. 기계공학부(주간: 250명, 야간: 40명) (감원 100명)
- 2002. 기계공학과로 개편(주간: 140명, 야간: 40명, 계 180명)
- 2004. 기계공학과 전일제 수업으로 개편 (정원 : 160명)
- 2007. 기계공학과(정원: 160명) 전일제 수업
- 2009. 기계공학과(정원: 150명) 전일제 수업
- 2011. 기계공학과(정원: 150명)으로 조정, 전일제 수업
- 2012. 기계공학과(정원: 150명) 전일제 수업
- 2013. 기계공학과(정원: 150명) 전일제 수업
- 2015. 기계공학과(정원: 135명)으로 조정, 전일제 수업
- 2020. 기계공학과(정원: 220명),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부 통합
특징
조선대학교는 1946년에 호남지역 최초로 기계공학과 설치인가를 받았으며, 대학원에서는 1953년에 석사과정, 1967년에 박사과정을 인가 받아 지금까지 많은 우수한 산업기술 인력양성과 기계기술 분야의 산학협력 사업을 수행하여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해 왔습니다. 21세기에 세계화, 정보화, 지방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계공학의 발전계획 및 특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산학협력을 위한 통상산업부 지정 부품산업 테크노센터, 한국과학재단 지정 수송기계부품 공장자동화 연구센터, 생산기술연구원 광주*전남지역센터, 중소기업청 지정 창업보육센터,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친환경 자동차기반 부품소재 인재양성센터, 조선대학교 부설 기계기술연구소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취업 및 진로
기계공학은 21세기경 지식기반 산업의 기반이 되는 학문 분야로써 국가 기반 산업인 자동차산업, 중공업산업, 에너지 산업, 공작기계 산업, 항공/우주산업, 조선산업, 기계 부품 산업 등 폭넓은 분야에 취업과 진로가 열려져 있다. 또한 학문간 융합과 복합화에 선두적인 분야로써 가전/전자산업(정밀기계부품, 컴퓨터, 반도체, 정보통신, 로봇, 3D 프린팅 산업) 및 화학/생물 산업 분야 등에도 진로가 폭넓게 열려져 있다.본 대학원의 졸업생들은 지역(광주/전남) 뿐만 아니라 서울/경인, 부산/경남, 대구/경북 등의 대기업/중견/중소기업, 정부기관, 연구소 및 대학 등에 진출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대학원 졸업 후 국내외 유수 대학으로 박사과정 진학 및 기업체/민간/국가 연구소의 연구원 및 대학 교수등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소속학과 교수진
성명 | 직위 | 최종학위 | 출신대학 | 출신대학원 | 세부전공 | 구내전화 |
---|---|---|---|---|---|---|
성윤경 |
교수 |
공학박사 |
영남대 |
Univ of Alabama |
비선형제어 |
7181 |
안동규 |
교수 |
공학박사 |
부산대 |
KAIST |
적층제조&CAD/CAM/CAE |
7043 |
조창현 |
교수 |
공학박사 |
경희대 |
고려대 |
동역학 및 제어 |
7389 |
조홍현 |
교수 |
공학박사 |
고려대 |
고려대 |
냉동 및 저온공학 |
7050 |
박정우 |
교수 |
공학박사 |
부산대 |
부산대 |
멀티스케일 정밀가공 및 시스템 |
7277 |
강양준 |
교수 |
공학박사 |
창원대 |
광주과학기술원 |
바이오미세유체역학 |
7052 |
오동욱 |
교수 |
공학박사 |
연세대 |
서울대 |
열전달 |
7041 |
정성용 |
교수 |
공학박사 |
포항공대 |
포항공대 |
유체역학 |
7051 |
박정수 |
교수 |
공학박사 |
연세대 |
연세대 |
내연기관 |
7057 |
김지훈 |
부교수 |
공학박사 |
조선대 |
조선대 |
재료 및 파괴공학 |
7523 |
박설현 |
부교수 |
공학박사 |
조선대 |
Drexel University |
연소공학 |
7174 |
김진우 |
부교수 |
공학박사 |
조선대 |
조선대 |
고체 및 재료 |
7014 |
곽재복 |
부교수 |
공학박사 |
뉴욕주립대 |
뉴욕주립대 |
재료 및 구조설계 |
7095 |
이성준 |
부교수 |
공학박사 |
광운대 |
서울대 |
전력전자 |
7173 |
김창래 |
부교수 |
공학박사 |
건국대 |
연세대 |
트라이볼로지 |
7048 |
이정원 |
조교수 |
공학박사 |
중앙대 |
포항공대 |
나노 기능성 표면 |
7058 |
고광준 |
조교수 |
공학박사 |
전남대 |
전남대 |
의료용 로봇 |
7047 |
이민기 |
조교수 |
공학박사 |
성균관대 |
성균관대 |
유체역학 |
7077 |
함정균 |
조교수 |
공학박사 |
조선대 |
조선대 |
열공학 |
7035 |
정영달 | 조교수 | 공학박사 |
UNIST | UNIST | 전산유체역학 | 7049 |
하태광 | 조교수 | 공학박사 |
경상국립대 | Texas A&M University &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Manufacturing processes & metal forming | 70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