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도 | 내 용 |
---|---|
1946년 09월 09일 | 광주 야간대학원 설립인가 |
1946년 09월 29일 | 광주 야간대학원 개교 |
1946년 11월 23일 | 광주 야간대학원을 조선대학원으로 명칭변경 |
1948년 05월 26일 | 조선대학원을 조선대학으로 개편 |
1953년 03월 01일 | 초대 대학원장 박철웅 박사 취임 |
1953년 03월 10일 | 조선대학교 대학원 설립 |
1953년 11월 21일 | 석사학위과정 : 법학과, 정치학과, 경제학과, 문학과, 이학과(수학전공, 물리전공, 화학전공), 회화과, 음악학과, 공학과(토목공학전공, 건축공학전공, 기계공학전공, 화학공학전공, 채광야금전공), 8개학과(225명) 설치 |
1954년 03월 10일 | 제2대 대학원장 황채연 교수 취임 |
1956년 03월 22일 | 박사학위과정 : 법학과(법학전공, 정치학전공), 경제학과 (경제학전공, 상학전공)등 2개학과(20명) 설치(총 석사학위과정: 8개학과, 박사학위과정: 2개학과) |
1959년 02월 09일 | 석사학위과정 : 약학과 신설 |
1961년 03월 15일 | 제3대 대학원장 김택주 박사 취임 |
1963년 01월 29일 | - 석사학위과정 : 상학과, 이학과(생물전공), 공학과(광산학,명칭변경 금속공학 전공)신설 - 박사학위과정 : 상학과 신설 |
1966년 02월 25일 | 석사학위과정 : 수학과, 생물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광산공학과, 금속공학과 신설 |
1966년 12월 12일 | - 석사학위과정 : 정치외교학과, 영문학과 신설 - 박사학위과정 : 수학과, 물리학과,생물학과,토목공학과,기계공학과,약학과 신설 |
1971년 01월 23일 | 석사학위과정 : 체육학과 신설 |
1972년 01월 22일 | 석사학위과정 : 국문학과(명칭변경), 가정학과, 의학과 신설 |
1973년 01월 08일 | - 석사학위과정 : 회화과(삭제) - 박사학위과정 : 건축공학과, 전기공학과 신설 |
1973년 12월 31일 | - 석사학위과정 : 미술학과, 간호학과 신설 - 박사학위과정 : 국문학과, 화학공학과, 광산공학과, 의학과 등 신설 |
1976년 01월 22일 | - 석사학위과정 : 국어국문학과, 자원공학과, 경영학과 과명변경 - 박사학위과정 : 자원공학과(광산과)과명변경 |
1978년 02월 15일 | 석사학위과정 : 전자공학과 신설, 영어영문학과 과명변경 |
1978년 12월 30일 | - 석사학위과정 : 무역학과, 치 의학과 신설 - 박사학위과정 : 영어영문학과 신설 |
1979년 03월 10일 | 제4대 대학원장 박준채 박사 취임 |
1979년 12월 05일 | 박사학위과정 : 화학과 신설 |
1980년 11월 03일 | - 석사학위과정 :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지학과, 무용학과 신설, 순수미술학과(미술학과) 과명변경 - 박사학위과정 : 정치외교학과, 금속공학과, 치의학과 신설 |
1981년 11월 25일 | 석사학위과정 : 식품영양학과, 응용미술학과 신설 |
1982년 11월 22일 | 석사학위과정 : 유전자과학과 신설 |
1983년 10월 29일 | - 석사학위과정 : 우주공학과, 원자력공학과 신설 - 박사학위과정 : 식품영양학과 신설 |
1984년 11월 27일 | - 석사학위과정 :회계학과, 서반아어과, 전산통계학과, 전자계산학과, 천문학과, 전산기공학과 신설, 지구과학과 과명변경 - 박사학위과정 : 유전자과학과 신설 |
1988년 01월 14일 | 제5대 대학원장 조철형 박사 취임 |
1988년 10월 27일 | 제6대 대학원장 장신요 박사 취임 |
1988년 11월 30일 | 석사학위과정 : 행정학과, 기계설계학과, 환경공학과, 산업공예학과 신설 |
1989년 08월 29일 | 제7대 대학원장 고창현 박사 취임 |
1991년 10월 16일 | 대학원장 직무대리 송기동 박사 집무 |
1991년 11월 15일 | 박사학위과정 : 무역학과, 전산통계학과 신설 |
1991년 11월 20일 | 제8대 대학원장 구창환 박사 취임 |
1992년 07월 28일 | - 석사학위과정 : 고분자공학과 신설 - 박사학위과정 : 환경공학과, 전자공학과 신설 |
1993년 09월 05일 | 석사학위과정 : 제어계측공학과 신설 박사학위과정 : 컴퓨터공학과 신설 |
1993년 11월 20일 | 제9대 대학원장 이덕무 박사 취임 |
1994년 10월 05일 | 석사학위과정 : 정밀기계공학과 신설, 천문학과 폐과 |
1995년 10월 18일 | - 석사학위과정 : 환경학과, 재료공학과, 산업공학과, 선박해양학과 신설,항공우 주공학과(우주공학과), 컴퓨터공학과(전산기공학과) 과명 변경 - 박사학위과정 : 고분자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전자계산학과 신설 |
1995년 11월 20일 | 제10대 대학원장 조병엽 박사 취임 |
1996년 07월 23일 | 제11대 대학원장 고석태 박사 취임 |
1996년 11월 02일 | - 석사학위과정 : 아랍이슬람학과 신설 - 박사학위과정 : 행정학과, 기계설계공학과, 정밀기계공학과, 체육학과 신설 |
1997년 09월 01일 | 석사학위과정 : 산업디자인학과(응용미술학과에서 과명 변경) |
1998년 07월 23일 | 제12대 대학원장 신호 박사 취임 |
1998년 11월 01일 | 제13대 대학원장 이진환 박사 취임 |
1999년 06월 04일 | 입학정원 : 석사학위과정 10명 박사학위과정 4명 증원 |
1999년 09월 01일 | - 석사학위과정 :중어중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러시아어학과, 철학과, 신문방송학과, 사회체육학과 신설, 금속-재료 공학과(금속공학과, 재료공학과 학과 통합) - 박사학위과정 :지구과학과, 선박해양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원자력공학과, 미학-미술사학과, 금속-재료 공학과 신설 |
2000년 07월 18일 | - 석사학위과정 : 미술이론 및 행정학과 신설 박사학위과정 : 회계학과, 미술학과 신설 , 미학-미술사학과 폐지(총 석사학위과정 : 5계열 60개학과 입학정원 414명 - 박사학위과정 : 5계열 40개학과 입학정원 163명) 학과간 협동과정(석사학위과정:13명, 박사학위과정:12명) 생물 신소재학과, 첨단 해상 운송시스템 설계 및 생산관리학과, 보건학과, 미학-미술사학과 신설 학연산 협동과정 (석사학위과정 : 입학정원 16명, 박사학위과정:입학정원 7명) 국립환경연구원, 기상청,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한국 원자력연구소 신설 |
2000년 11월 01일 | 제14대 대학원장 정헌상 박사 취임 |
2001년 07월 26일 | 석사학위과정 : 특수교육학, 정보통신공학과 신설 박사학위과정 : 교육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신설 총 석사학위과정 62개학과, 박사학위과정 42개학과, 생물신소재학과 협동과정 석사5명, 박사 2명 증원 산업안전공학과, 광응용공학과, 디자인경영학과 신설(석사15명, 박사 8명) 학과간 협동과정 7개학과 총 정원 석사 28명, 박사 23명 기상청학과 협동과정 석사 2명, 박사 1명 증원 , 식품의약품안전청 학. 연. 산 협동과정 신설 박사학위과정 :학. 연. 산 협동과정 5개학과 총 정원 석사 23명, 박사 11명 |
2001년 10월 30일 | 석사학위과정 : 미학.미술사학과(미술이론및행정학과에서 과명 변경)학과간협동과정 지역문화학과, 과학교육학과 신설 학과간협동과정 9개학과 총 정원 석사28명, 박사23명, 환경생명공학과(국립환경연구원), 대기과학과(기상청), 생산가공공학과(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응용과학과(한국원자력연구소), 식품의약학과(식품의약품안정청) 과명변경 |
2002년 11월 01일 | 제15대 대학원장 박성규 박사 취임 |
2003년 10월 24일 | 석사학위과정 : 첨단소재공학과(금속-재료공학과에서 과명 변경) 광기술공학과, 시각정보미디어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과 신설 제품실내디자인학과(산업디자인학과에서 과명 변경) 박사학위과정 : 간호학과, 특수교육학과 신설 |
2003년 11월 13일 | 제16대 대학원장 이성백 박사 취임 |
2004년 09월 01일 | 박사학위과정 : 일본학과(일어일문학과에서 과명변경), 산업공학과 신설 컴퓨터학과(전자계산학과에서 과명변경), 치의공학과,학과간협동과정(중국통상학과, 바이오신약개발학과) 석박사과정 신설 |
2004년 12월 20일 | 첨단해상운송시스템공학과(첨단해상운송시스템 설계 및 생산관리학과에서 명칭변경) |
2005년 09월 15일 | 박사과정 학과신설(국어교육학과, 영어교육학과, 수학교육학과) 학과통합(컴퓨터학과+컴퓨터공학과=컴퓨터공학과, 환경학과+환경공학과=환경공학과) 러시아학과(러시아어학과에서 학과명칭변경) |
2005년 11월 14일 | 석사학위과정 : 학과간협동과정 해양생물학과 신설석박사학위과정 : 학연산협동과정 산업기술공학과, 디지털컨버전스공학과, 응용선박과학과 신설 |
2005년 12월 01일 | 제17대 대학원장 문정민 박사 취임 |
2006년 09월 01일 | 석사학위과정 : 문화콘텐츠학과(학과간협동과정), 사회복지학과, 문예창작학과신설 박사학위과정 : 문화콘텐츠학과(학과간협동과정), 사학과 신설생명공학과(유전자과학과에서 명칭변경)학과통합(기계설계공학과+첨단소재공학과+고분자공학과+정밀기계공학과=첨단부품소재공학과) |
2006년 11월 30일 | 전문간호사과정 (석사학위과정) 신설 대학원 수료연구생 제도 신설 |
2007년 10월 24일 | 석사학위과정 순수미술학과를 미술학과로 통합 신문방송학과, 광기술공학과 박사학위과정 신설 |
2007년 11월 10일 | 제18대 대학원장 백채선 박사 취임 |
2008년 05월 15일 | 석·박사학위과정 : IT융합학과, 국제차문화학과 신설 석·박사학위과정 : 생산·가공공학과, 응용과학 |
2009년 09월 30일 | - 특례등록제도(영구수료자 학위신청) 신설.학과신설:교육학과(석사), 한문교육학전공(박사), 건축학전공(석.박사), 언어치료학과(석.박사). - 학과폐지 : 응용선박과학과.학과명칭 및 과정 변경 : 치의공학과->치의생명공학과, 과학교육학과 과정 (협동과정-> 일반과정).학과전공체제로 개편 - 석사학위과정 : 동양학과(중어중문학전공, 일본학전공, 아람이슬람학전공), 서양학과(독어독문학전공, 불어불문학전공, 서어서문학전공, 러시아학전공),국제지역문화학과(국제지역문화학전공, 문화콘텐츠학전공), 자연과학과(수학전공, 물리학전공, 생물학전공, 지구과학전공), 자연교육학과(과학교육학전공), 건축공학과(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기계공학과(기계공학전공, 산업기술공학전공), 전자공학과(전자공학전공, 디지털컨버전스공학전공), 산업공학과(산업공학전공, 산업안전공학전공),선박해양공학과(선박해양공학전공, 첨단해상운송시스템공학전공), 첨단부품소재공학과(정밀기계설계공학전공, 소재공학전공), 광기술공학과(광기술공학전공, 광응용공학전공) 디자인학과(제품실내디자인학전공, 산업공예학전공, 시각정보미디어학전공), 체육학과(체육학전공, 사회체육학전공, 무용학전공) - 박사학위과정 : 인문교육학과(국어교육학전공, 영어교육학전공, 한문교육학전공), 국제지역문화학과(국제지역문화학전공, 문화콘텐츠학전공), 자연과학과(수학전공, 물리학전공, 생물학전공, 지구과학전공), 자연교육학과(수학교육학전공, 과학교육학전공), 건축공학과(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기계공학과(기계공학전공, 산업기술공학전공), 전자공학과(전자공학전공, 디지털컨버전스공학전공), 선박해양공학과(선박해양공학전공, 첨단해상운송시스템공학전공), 산업공학과(산업공학전공, 산업안전공학전공), 광기술공학과(광기술공학전공, 광응용공학전공) |
2009년 11월 10일 | 제19대 대학원장 박순철 박사 취임 |
2010년 04월 26일 | - 학과신설 : 미술심리치료학과(박사/협동과정), 보완대체의학과(박사/협동과정), 고전번역학과(석.박사/협동과정), 상담심리학과(석.박사). - 학과명칭변경 : - 자원공학과 -> 에너지자원공학과, 중국통상과 -> 국제통상학과, 국제지역문화학과(국제지역문화학전공, 문화콘텐츠학전공) -> 국제문화학과국제문화학전공, 문화콘텐츠학전공), 일본학과(박사) -> 동양학과(일본학전공)(박사), 기계공학과(기계공학 전공, 산업기술공학전공) -> 기계공학과, 산업기술공학과 |
2010년 10월 06일 | 학과명칭 변경 : 해양생물학과(석사/협동과정) -> 해양생명과학과(석.박사) |
2011년 02월 10일 | 학과신설 : 디자인공학과(석사/협동과정) |
2011년 05월 13일 | 학과명칭 변경 : 전자공학과(전자공학전공, 디지털컨버전스공학전공) -> 전자공학과, 디지털컨버전스공학과 / 산업공학과(산업공학전공, 산업안전공학전공) ->산업공학과, 산업안전공학과 |
2011년 11월 10일 | 제20대 대학원장 양인영 박사 취임 |
2012년 09월 24일 | 제21대 대학원장 박해천 박사 취임 |
2013년 01월 30일 | - 학과 폐지 : 가정학과, 국제통상학과, 국제문화학과(문화콘텐츠학전공), 산업기술공학과, 디지털컨버전스공학과, 선박해양공학과(첨단해상운송시스템공학전공) - 학과 신설 : FTA비스니스학과(석,박사과정) |
2013년 02월 12일 | - 학과통폐합 및 신설 : 원자력공학과·건축공학과(건축공학전공)·토목공학과·에너지자원공학과 -> 첨단플랜트건설공학과 |
2013년 02월 12일 | - 학과신설 : 과학문화교육학과, 에너지나노바이오융합학과, 생명과학과 - 학과명칭 변경 : 건축공학과(건축학전공)->건축공학과, 선박해양공학과(선박해양공학전공)->선박 해양공학과 |
2013년 03월 13일 | 제22대 대학원장 황인창 박사 취임 |
2013년 04월 15일 | - 학과 명칭 변경 : 에너지나노바이오융합학과 -> 신재생에너지융합학과 - 학위 명칭 변경 : 철학과 박사과정(문학박사 -> 철학박사) |
2013년 08월 28일 | - 학과 폐지 : 자연과학과(생물학전공)·생명공학과 - 학위 명칭 변경 : 보완대체의학과 (이학박사 -> 보완대체의학박사) |
2013년 10월 31일 | - 학과 신설 : 탄소소재학과(석.박사과정), 군사학과(박사과정) - 학위과정 신설 : 국어교육학과(석사), 수학교육학과(석사) - 학과명칭 변경 : 첨단부품소재공학과(정밀기계설계공학전공)->기계시스템공학과(2014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 학과명칭 변경 : 자연과학과(과학교육학전공)->과학교육학과, 자연교육학과(수학교육학전공)->수학교육학과, 인문교육학과(영어교육학전공)->영어교육학과, 인문교육학과(국어교육학전공)->국어교육학과, 인문교육학과(한문교육학전공)->한문교육학과 - 학과분리 : 첨단플랜트건설공학과 ->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원자력공학과 |
2014년 01월 13일 | 학과통폐합 및 신설 : 생물신소재학과, 바이오신약개발학과->의과학과(석·박사과정) 학과폐지에 따른 신설 : 국제문화학과->문화학과 |
2014년 11월 05일 | 학과 신설 : 용접접합과학공학과 학위과정 신설 : 미술심리치료학과(석사과정/학과간협동과정) 학과명칭 및 과정 변경 : 디자인경영학과(학과간협동과정)->디자인학과(일반과정), 자연과학과(물리학전공)->물리학과, 첨단부품소재공학과(소재공학전공) ->첨단소재공학과, 행정학과->공공행정학과 학과통폐합 및 학과명칭 변경 : 건축공학과, 건축학과->건축공학과 / 광기술공학과(광기술공학전공), 광기술공학과(광응용공학전공)->광기술공학과 / 대기과학과, 자연과학과(지구과학전공)->지구과학과 / 동양학과(아랍이슬람학전공), 동양학과(일본학전공), 동양학과(중어중문학전공)->아시아학과 / 서양학과(러시아학전공), 서양학과(불어불문학전공), 서양학과(서어서문학전공), 서양학과(독어독문학전공)->서양학과 / 디자인학과(산업공예학전공), 디자인학과(시각정보미디어학전공), 디자인학과( 제품실내디자인학 전공)->디자인학과 / 체육학과(체육학전공), 체육학과(사회체육학전공), 체육학과(무용학전공)->체육학과 / 경영학과, 회계학과->경영학과 / 산업공학과, 산업안전공학과->산업공학과 학과폐지 : 환경생명공학과, 한문교육학과, 해양생명과학과, 자연과학과(수학전공), 동양학과(일본학전공) 박사과정 |
2015년 03월 13일 | 제23대 대학원장 이남근 박사 취임 |
2016년 02월 03일 | 학과과정 변경 : 생명과학과(학과간협동과정)->생명과학과(일반과정) |
2016년 05월 16일 | 학과 신설 : 중독재활복지학과(박사과정) |
2016년 09월 26일 | 제24대 대학원장 정형식 박사 취임 |
2017년 01월 31일 | 학위과정 신설 :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박사과정/학과간협동과정) |
2017년 06월 14일 | 학위과정 신설 : 소방안전방재학과(석·박사과정/학과간협동과정) |
2017년 07월 04일 | 학과 신설 : 문예창작학과(박사과정) |
2017년 08월 04일 | 제25대 대학원장 최후균 박사 취임 |
2017년 08월 17일 | 영사행정학과 석사, 박사과정 학과간협동과정학과로 신설 |
2018년 02월 22일 | 석사, 박사과정 기계시스템공학과를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과로 명칭 변경 |
2018년 12월 06일 | 제26대 대학원장 최병기 박사 취임 |
2019년 03월 29일 | 학과 명칭 변경 : 국제차문화학과 -> 국제티앤커피문화학과 |
2019년 06월 19일 | 학과 통합 : 지구과학과 -> 과학교육학과 |
2019년 09월 02일 | 학과 신설 : 스마트이동체융합시스템공학과(석사, 박사) 신설 - 학과간협동과정 |
2019년 10월 25일 | 제27대 대학원장 장완식 박사 취임 |
2020년 04월 29일 | 학과 명칭 변경 : 생명과학과 -> 글로벌바이오융합학과 |
2020년 07월 24일 | 제28대 대학원장 이경진 박사 취임 |
2020년 09월 01일 |
4단계 BK21 사업 진입 |
2020년 10월 30일 | 학과 신설 : 융복합창업학과(석사, 박사) 신설 - 학과간협동과정 |
2020년 11월 23일 | 학과 신설 : 원자력발전학과(석사과정) 신설 - 계약학과 학위과정 신설 : 서양학과 박사학위과정 신설 |
2021년 08월 26일 | 학과명칭 변경 : 에너지자원공학과 -> 첨단에너지 자원공학과 |
2021년 09월 01일 |
제29대 대학원장 정진철 박사 취임 |
2022년 02월 28일 |
학과 신설 : 사회적경제학과 석사과정 신설 |
2022년 05월 23일 |
학과 신설 : 수화언어학과 석사과정 신설 |
2022년 08월 01일 |
학과 신설 : 과학기술정책융합학과 석사과정 신설 |
2022년 09월 01일 |
학과 폐과 : FTA비즈니스학과, 아시아학과, 영사행정학과, 수학교육학과 폐과 |
2023년 01월 27일 |
학과 통합 : 기계공학과 +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과 -> 기계공학과 |
2023년 03월 01일 |
학과 명칭 변경 : 첨단소재공학과 -> 신소재공학과 |
2023년 06월 19일 |
- 학과 신설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과(석사, 박사, 석·박사통합과정) 신설 - 학위과정 추가 신설 : 수화언어학과, 과학기술정책융합학과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신설 - 학과 폐과 : 서양학과 폐과 |
2023년 11월 30일 |
제 30대 대학원장 이제홍 박사 취임 |
2023년 12월 07일 |
학과 폐과 : 신재생에너지융합학과 |
2024년 07월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레이저기술전문인력양성'과제 유치 |
2024년 09월 01일 |
- 학과 폐과 : 제어계측공학과 - 학과 명칭 변경 : 과학기술정책융합학과 -> 과학기술융합학과, 신문방송학과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학위과정 신설 : 과학기술정책융합학과 공학박사 신설 - 학위 명칭 변경: 철학과 석사과정(문학석사 -> 철학석사), 무역학과 석사과정(경영학석사 -> 무역학석사), 무역학과 박사과정(경영학박사 -> 무역학박사) |
2024년 12월 31일 |
학과 신설: 반도체융합학과 석사과정 신설, 인공지능공학과 박사과정 신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