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적
-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산업이며 안보자산인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이 세계시장을 선도할 수있도록 대학을 중심으로 반도체 인재양성 확대
- 급속히 발전하는 반도체 산업의 핵심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급 인력을 양성하며, 이를 위해 반도체 설계, 제조, 테스트 등 반도체 산업 전반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함
- 반도체융합학과는 국내외 산업체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학문적 성과가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하여 산학 협력을 강화하고, 반도체 기술의 상용화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고 있음
교육목표
- 산업 수요 맞춤형 실무 교육: 반도체 산업에서 요구되는 실질적인 기술과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통해,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합니다. 이를 위해 산업체와의 협력, 산학 협동 프로젝트 등을 활성화함
- 다학제적 융합 교육: 전기전자, 재료공학, 광기술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형 교육을 제공하여, 급변하는 반도체 기술 환경에서 문제 해결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재를 배출합니다. 이를 통해 창의적 사고와 종합적인 분석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함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구자 양성: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세계적인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학생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영어 논문 작성, 국제 학회 발표, 해외 유수 대학과의 교류 프로그램 등을 지원함
연혁 및 특징
-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과학기술혁신인재양성사업(반도체첨단패키징전문인력양성)에 선정: 반도체 후공정 분야 고도화에 따른 첨단 패키징 분야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파운드리 및 OSAT 경쟁력 강화
- 2024년 대학원 반도체융합학과 신설
- 대학원 본부는 반도체 첨단패키징 석박사 인력양성센터와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준비하고 운영함
- 대학원 본부와 반도체 첨단패키징 석박사 인력양성센터 산하에 총괄운영위원회와 자체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내부인력과 반도체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대학원사업의 운영·심의·자문에 참여하도록 함
취업 및 진로
- 첨단산업의 글로벌 제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첨단반도체 분야 석·박사 혁신인재 양성
- 반도체 파운드리 및 패키징 관련 기업 및 연구소, 대학으로 취업
- 반도체 첨단패키징 석박사 인력양성사업의 산학프로젝트와 참여기업 고용연계
소속학과 교수진
성명 | 직위 | 최종학위 | 출신대학 | 출신대학원 | 세부전공 | 구내전화 |
---|---|---|---|---|---|---|
손윤철 |
부교수 |
공학박사 |
연세대 |
KAIST |
재료공학 |
7219 |
권민기 |
교수 |
공학박사 |
전북대 |
GIST |
재료공학 |
7549 |
박종락 |
교수 |
공학박사 |
KAIST |
KAIST |
물리학 |
7036 |
주기남 |
교수 |
공학박사 |
KAIST |
KAIST |
기계 |
7235 |
신동찬 |
교수 |
공학박사 |
고려대 |
KAIST |
재료공학 |
7191 |
최병상 |
교수 |
공학박사 |
조선대 |
U of Utah |
금속공학 |
7190 |
고필주 |
교수 |
공학박사 |
조선대 |
동경공업대 |
재료공학 |
7030 |
곽재복 |
부교수 |
공학박사 |
SUNY (Binghamton) |
SUNY (Binghamton) |
기계공학 |
70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