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적
인간과 세계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바탕으로 문학을 이론적으로 이해하며, 예술적 감수성과 형상화 기능을 배양하여 수준 높은 문학텍스트를 창작할 수 있는 전문적인 창작인력을 양성함으로써 민족문화예술의 발전에 기여한다.
교육목표
- 문학의 일반이론과 창작이론을 연구하고, 체계적인 실기훈련을 통하여 한층 전문화된 창작인력을 양성한다.
- 현대문학에 대한 폭넓은 안목을 기르고, 문학텍스트 분석능력을 강화하여 문학에 대한 깊이 있고 민감한 반응능력을 키운다.
- 정보화와 영상매체의 활성화 등 급격히 변화하는 문화 환경에 대한 정보와 적응력을 높임으로써 출판, 방송, 광고, 영화 등 새로운 창작분야를 개척한다.
연혁 및 특징
연혁
- 2006년 10월 문예창작학과 석사과정 설치
- 2017년 9월 문예창작학과 박사 과정 및 석박사 통합 과정 설치
특징
- 시창작, 소설창작, 영상문학창작, 문학이론 및 비평창작으로 전공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 전공별로 현역작가들의 개별적인 실기지도를 강화한다.
취업 및 진로
- 시인, 소설가, 평론가, 아동문학 작가, 방송문학 작가 등 창작자
- 출판 편집자, 글쓰기 지도교사, 방송구성 작가, 스토리텔링 작가, 카피라이터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 인력
소속학과 교수진
성명 | 직위 | 최종학위 | 출신대학 | 출신대학원 | 세부전공 | 구내전화 |
---|---|---|---|---|---|---|
이승우 | 교수 | 학사 | 서울신학대 | 연세대연합 신학대 | 소설창작 | 6508 |
진은영 | 부교수 | 박사 | 이화여자대 | 이화여자대 | 시 | 6511 |
김희정 | 조교수 | 석사 | 서울예술대 | 폴란드우쯔 국립영화학교 |
연출 | 6560 |
양경언 |
조교수 |
박사 |
이화여자대 |
서강대 |
비평 |
6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