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전망
국내 용접·접합산업 현황
-
주력 산업 자동차, 전자, 조선의 핵심기반 뿌리기술
-
제조업(자동차, 조선, 전자) 총 생산액 중 용접접합공정 비중 30%
(선박 1대당 용접관련 비용이 전체선박 건조비용 35%차지)
-
이를 뒷받침하는 전문화된 대졸 용접전문가 약 26,000명 이상 필요 →
조선대학교 용접접합과학공학과 국내 최초 신설(2014년) -
현장 용접관리자 국내ㆍ외 비교(용접사/엔지니어 1명당)
- 해외: 10명/ 국내: 290명
※ 현장 용접관리 인력 부족 -
독일 용접관리사 수 비교
- 용접사: 200,000명/ 용접관리사: 15,000명
- 동일한 비율일 경우 국내 필요 인력=26,000명
취업 및 진로
본 학과 졸업생들은 국제적으로 규격화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용접전문가로서 현장에서의 용접기능사를 감독 및 총괄함으로써 용접부의 품질 향상 및 안전성을 책임진다. [취업진로분야: 철도, 정유화학, 토목, 발전, 가전, 기계, 방위산업, 반도체, 철강, 조선, 자동차, 우주, 항공, 건설 등]
전공관련자격증
국제용접학회에서 인증하는 세계공인국제용접전문가 자격증을 졸업과 동시에 취득할 수 있으며, 취득자는 학부과정에 Certificate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함으로써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용접전문기술에 대한 특정 수준의 Qualification을 인정 받을 수 있다.
국제용접학회(International Institute of Welding, IIW) 회원국
유럽 지역 (27개국) |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루마니아, 러시아, 벨기에, 불가리아,리투아니아, 세르비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프랑스,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영국, 핀란드, 슬로바키아, 폴란드, 포르투갈,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
---|---|
아시아, 대서양 지역 (17개국) |
뉴질랜드, 리비아, 레바논,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폴, 이란, 이스라엘,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파키스탄, 호주, 한국, 터키, 태국 |
아프리카 지역 (4개국) |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튜니지아 |
북 남미 지역 (5개국) |
브라질, 미국, 멕시코, 아르헨티나, 캐나다 |